"드루젠" 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드루젠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나이가 들수록 세포의 신진대사가 저하되고 혈류가 원활하지 않게 되어 망막색소상피에 남은 광수용체세포가 축적되면서 생겨나는 "노란 반점" 입니다.
망막을 검사하면 드루젠(drusen)이라고 하는 작고 둥근 황백색 병변이 보입니다.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증상이 느껴지지 않을 수 있으며, 휘어진 물체, 야간 시력 저하, 감각이상 등의 증상이 모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있든 없든 소견이 있으면 안과의를 찾아 정밀한 망막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드루젠의 의심을 듣고 정밀검사를 한 결과 일부는 드루젠이 아닌 단순 색소침착으로 밝혀질 수도 있거든요. 그리고 정밀한 검사를 통해 다른 망막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드루젠이 발생하면 크기, 수, 위치에 따라 진행 정도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드루젠은 천천히 생성되기 때문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병은 아닙니다. 그러나 드루젠은 건성 황반변성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이는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드루젠이 검출되면 1년에 1~2회 안과의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시력저하, 물결모양, 휘거나 중앙부가 없는 등의 증상이 있으면 황반변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황반변성은 크게 건성(dry)과 습성(wet)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중 90% 이상이 건성이며, 그 중 90% 이상은 노폐물 축적과 광수용기 세포의 진행성 위축이 차지합니다.
때로는 드루젠이 "치매"의 시그널로 작용할 때가 있습니다.